건축기사 건축계획 마지막 4편 진행하겠습니다.
이 링크 를 클릭하시면 요약본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.
3편 링크는 아래 사진을 클릭해 주세요. 2편, 1편과도 연결됩니다.
4편은 한국건축사, 서양건축사의 내용을 다루겠습니다.
건축사의 경우 방대한 내용이므로 기출에 꼭 나오는 내용만 축약해서 게시하도록 하겠습니다.
건축사
한국: 자연과의 조화, 친근감, 착시 보정기법.
자연미 표현, 외관 간소하고 겸허
친근감 외관 아담.
기둥에 배흘림을 두었다. 밑에서 1/3부분이 가장 굵게.
안쏠림과 우주의 솟음(바깥족 기둥)를 중간보다 길게.
지붕처마 곡선의
후림(처마의 안쪽으로 휘어 들어오게) 조로 (입면에서 처마의 양 끝 들어올림)
주거공간 특성.
비대칭성. 공간의 폐쇄성. 위계적 공간구성, 연속성,
공간구성
가정적 공간: 부엌, 안방
사회적 공간: 서재, 거실, 후원
제사적 공간: 사당
시대별 특징
고려: 외관이 높고 웅대하다. 공포 양식이 발전.
주심포식
봉정사 극락전(한국 최초 목조건물), 부석사 무량수전, 수덕사 대웅전, 강릉 객사문
다포식: 심원사 보광전, 석왕사 응진전, 성불사 응진전
조선: 궁궐, 성곽, 성문 학교? 건축이 중심, 주위환경 조화.
다포식: 개성 남대문, 서울 남대문, 경복궁 근정전
주심포식: 부석사 조사당,
익공식: 오죽헌,
근대: 구한말 건축. 명동성당(한국 유일의 순수고딕),
덕수궁 석조전 그리스의 이오니아식 주범을 사용.
궁궐건축
대규모 화려하게. 경복궁: 대표적. 고종때 재건. 비대칭적, 근정전
한국건축 구조형식
공포: 기둥과 지붕 사이. 보와 장혀 등이 가게 됨.
주심포식 배흘림 큰편. /다포식은 약함.
맛배지붕/팔작지붕.
기둥위에 주도놓고, / 다포식 만의 평방을 사용 그위에 공포.
가구구성
창방: 기둥 머리끼리 연결한 부재.
평방: 다포식만.
우미량: 소꼬리. 곡선부재. - 주심포에서만.
**하계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해서 개구부 큼
**대웅전 3층 정방형 단칸집. 정사각형. 법주사 팔상전 목탑
**창방: 기둥머리 연결, 평방: 다포식, 장혀: 도리밑을 받침,
칠량가: 보가 7개.
무위사 극락전, 금산사 대적광전. 등
수덕사 대웅전은 구량가.
하앙식: 화엄사 극락전
근대
명동성당 순수고딕, 한국은행 르네상스, 덕수궁?, 성공회 로마네스크
성균관 동재, 존경각, 명륜당.
경복궁 배치: 강녕전, 교태전. 후침.
향교의 공간배치 원리. 전묘후학, 전학후묘.
전통 구조 분류: 우리나라 기후와 관련됨. 북부 폐쇄, 남부 개방.
서울형 ㄱㄴㅁ, 북부형(함경도) 田형, 중부 기역자, 남부 일자
서양건축사.
순서 그리스로마, 초기기독교, 비잔틴, 로마네스크, 고딕, 르네상스, 바로크, 로코코
고대건축: 이집트 분묘건축. 현세는 일시적 주거, 사후 영원한 삶.
마스타바, 피라미드(고대문명 상징), 절대적 왕의 상징.
지구라트 피라미드 비교.
모서리가 동서남북./면이 동서남북
밀집(빈공간 x)/묘실
흙벽돌/돌
관측소, 재단(신전)/분묘
높은 담: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 산에 더 가까이 있음.
그리스건축 신전
파르테논: 그리스 대표적. 아테네 아크로폴리스. 도리아식.
에렉테이온: 이오니아식.
포세이돈: 도리아식
아고라: 광장. 옥외공간. 공공회합 장소. 사회생활 중심지. 도서관 의회당 등 근처
그리스 기둥 특징
도리아-단순, 장중/가장 오래된 양식/주초가 없음/착시교정(엔타시스, 배흘림)
이오니아-우아, 동양영향
코린티안-나뭇잎
착시교정 기법
배흘림, 라이즈(약간 솟아오르게), 안쏠림, 기둥간격 모서리 갈수록 좁게.
로마건축
재료를 주로 석재 사용. 콘크리트 발명.
구조의 특징: 벽돌로 리브를 만들고 볼트 사용
기둥양식
도리아, 이오니아, 코린티안, 토스칸, 컴포지트
판테온 신전: 7개 니치 사용
원형 평면 부분 로툰다(돔)
로마에는 포럼이 있음. 아고라와 유사한 기능.
신전건축: 종교에 무관심. 신전 중요성 감소
판테온 신전: 로툰다!
주거건축
도무스(개인주택) 빌라(공동주택) 인술라(노예 평민 공동)
중세건축
초기 기독교 건축: 아트리움의 바실리카식 교회당
네이브, 아트리움, 전실
비잔틴
초기 기독교 바로 다음. 표면 대리석 포장.
사라센 문화. 동양적 요소 가미. 돔과 아케이드, 펜덴티브 돔(사각형 평면 돔)
성 소피아, 마르크, 비탈레 성당
부주두: 비잔틴은 2중구성. 상부는 부주두, 아치 베이스
모스크 건축. 사라센.
미나렛 고탑. 인도같이 생긴거. 러시아 느낌
로마네스크: 리브볼트, 베이시스템(벽없이 기둥), 버트레스
고딕: 뾰족탑. 첨두아치. 플라잉 버트레스(외벽에 댄거), 수직 수평 강조.
프랑스 노트르담, 독일 성 엘리자베스, 이탈리아 밀라노,
근세건축
르네상스: 신 중심에서 과학적.
바로크
구조적 특징: 극적효과. 비대칭, 과장, 화려한 장식.
근대 과도기 건축
신 고전주의. 그리스와 로마양식의 모방. 주범을 중시.
르네상스는 로마를, 신고전주의는 정확히 모방.
대영박물관,
근대건축
산업혁명, 계몽주의.
수공예- 영국. 산업혁명 직후 대량생산 반작용. for 민중
아르누보- 수공예 직후. 기계생산 반작용. 주관적, 낭만적. for 심미적.
빈 분리파- 오스트리아. 고딕, 고전을 모방. 씨 세션. 기계생산 미온적. 기하학 추구
아돌프로스-슈타이너 주택, 차라저택, 뮐러주택. 장식은 죄악이다.
오토바그너-빈분리파 이론적 배경제공, 근대건축의 합목적적 건축이론
적당한 재료, 목적 파악/충족, 경제적 구조.
시카고학파: 시카고 대화재, 만국박람회, 철골구조 고층 발전.
독일공작연맹: 공업제품 질적 향상. 기술개선, 생산품질 향상에 기여.
데스틸: 네덜란드. 입체파 영향.
정착기 거장
프랭크 로이드 라이트-자연과 건물조화. 유기적 건축. 낙수장, 구겐하임 미술관
미스 반 데어 로에- less is more. 절제의 미. 철골구조. 장식 배제.
투겐하트 주택, IIT 대학, 시그램 빌딩
르 코르뷔지에-합리적 기능주의.
근대 5원칙: 필로티, 옥상정원, 자유로운 입면, 열린 평면, 수평 띠창
사보아 저택, 롱샹 성당, 마르세이유 아파트(메조넷 구조)
현대건축
근대건축 무시됐던 상징성, 장식이 주로 부각
브루탈리즘-윤리성, 진실성 강조, 루이스 칸(예일대 미술관), 킴벨 미술관, 방글라데시 정부종합청사
포스트모더니즘-탈현대건축. 상징성 역사 전통을 연계.
장식 시도. 로버트 벤츄리, 알도로시
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. 로버트 벤츄리 저서.
레이트모더니즘-(후기현대건축), 미니멀리스트적 표현. 구조의 표피 강조.
노만 포스터, 아이엔 페이
최근 현대건축
해체주의: 비정형적(성냥곽이 아님), 프랭크 게일(구겐하임 미술관)
렌조 피아노: 로마의 오디토리움
장 루에: 파리 아랍문화원
루이스 칸: 의학연구소
안토니 가우디: 카사빌라
이것으로 건축기사 건축계획의 요약을 마치겠습니다.
'공학 문제해결 > 건축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【건축기사】1회차 건축기사 필기 합격후기 (30) | 2019.03.26 |
---|---|
【건축기사】건축계획 정리 part 3 (0) | 2019.02.03 |
【건축기사】건축계획 정리 part 2 (0) | 2019.01.29 |